본문 바로가기

SQL3

DB개념) Relational Algebra(관계 대수) 간단 정리 오랜만에 공부 포스팅을 올려본다, ​ 네이버 블로그에도 옮겼는데 그냥 여기에도 올리고 싶어서 공유한다! ​ ​ 쨌든! 시험 공부도 할겸 간단하게 DB개념 정리를 할건데 ​ Relational Algebra(관계 대수) 예제 몇 개만 다뤄 볼 것이다. ​ ​ 관계 대수가 뭐야? ​ ​ 관계 대수(Relational Algebra)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관계형 모델을 기반으로 데이터 조작과 질의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형식화된 질의 언어입니다. ​ (ChatGPT가 그렇다면 그렇다는거지...) ​ 말그대로 Relation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연산 쿼리라 생각하면 된다. ​ 말은 어려운데 우리가 기존에 알던 집합과 비슷한 점이 많아서 ​ 집합간의 계산으로 보면 편하다. ​ ​ ​ ​ 1) UNION ​.. 2023. 6. 7.
SQL 피봇 테이블 개념 정리 (데이터리안 SQL 강의를 참고하여 작성한 게시물입니다) 데이터 분석에 자주 사용되는 피봇 테이블은 데이터를 요약하는 통계표이다. 테이블 피봇을 통해 행으로 나열되어 있던 데이터를 열 방향으로 변환하는 작업을 거치게 된다. 앞서 RFM에서 봤듯이 SQL은 요약 라이브러리가 따로 있지는 않아서 직접 코드를 작성해주어야한다. Solve SQL에 있는 문제로 살펴보자면 주문 넘버와, 주문 품목의 카테고리, 주문 지역 이렇게 3개의 column으로 된 테이블이 주어진다. 이 테이블을 토대로 주문 지역과, 주문 품목의 카테고리별 주문 횟수를 파악해 각 범주에 해당하는 수치를 눈으로 보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이럴 때 피봇테이블을 만들어 줄 수 있는데 MY SQL로 작성한 코드는 다음과 같다. 1 2 3 4 5.. 2023. 1. 27.
SQL을 통한 간단한 RFM Segmentation (데이터 리안 SQL 수업을 참고하여 작성) 데이터 요약 통계 제공 라이브러리가 SQL은 따로 있지않아서 r이랑 python이랑 다르게 직접 입력해줘야한다. 그래서 이제 코드를 통해 고객들을 분류해야하는데 RFM Segmentation 개념을 활용해보자! R, F, M은 다음과 같다. Recency: 얼마나 최근에 구매했는지 Frequency: 얼마나 자주 구매했는지 Monetary: 얼마나 많은 금액을 구매했는지 Recency, Frequency, Monetary의 기준이 회사나 사업마다 전부 다르고 서비스 특성에 따라도 없어지거나 크게 달라질 수 있기에 기준을 명확하게 정의해야 한다. 그리고 복잡함을 줄여주고자 R, F, M으로 용어 통일하겠다. R, F, M 수치로 고객을 분류하자면 다음과 같다. .. 2023. 1. 26.